캐드, 제품모델링, 기계, 금형 이야기

국가 기술 자격 CAD 실기 시험/기계 제도와 도면 해독 28

테이퍼 축에 있는 키 홈의 국부 투상도

테이퍼 축에 있는 키 홈의 국부 투상도 테이퍼 축에 평행 키나 반달 키가 있을 때의 인벤터에서 #보조 투상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테이퍼 축 모델링 축의 일부만 모델링하도록 하자. ① 인벤터의 X - Y 평면에 다음과 같이 스케치한다. ② [회전]하여 축을 만든다. ③ [돌출]로 키 홈을 만든다. - 대칭 방향, 5mm ④ 4개의 모서리에 [모깍기]로 R2.5를 필렛을 준다. ⑤ [저장]한다. 2. 투상도 작도 미리 만들어 놓은 도면에서 투상도를 작도한다. ① 정면도 작도 [기준] 뷰를 아래 그림과 같이 작도한다. ② 정면도를 더블 클릭하여 [은선]의 가시성을 켠다. ③ 키 홈의 국부 투상도 작도 [보조] 뷰를 클릭하고 기준 뷰를 선택한다. '뷰 방향을 정의할 선형 모형 모서리..

단면에서 리브( RIB )의 선 정리 방법

단면에서 리브( RIB )의 선 정리 방법 인벤터만을 이용해서 국가기술 CAD 자격시험을 볼 때에 리브(rib)의 정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브(rib)는 길이 방향으로 단면 하지 말아야 하는 형상으로 온 단면, 한쪽 단면, 부분 단면 등 단면시에 리브의 바깥쪽 모양을 잘 살려 주어야 합니다. ※ 리브의 선 정리 방법 4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단면 후 해칭을 숨기고, 스케치에서 리브 그리는 방법 2. 리브가 없는 모델에서 리브의 선을 그려주는 방법 3. 리브가 있는 모델과 없는 모델의 뷰(View)를 겹치는 방법 4. 리브가 있는 모델의 뷰(View)에 리브가 없는 모델의 단면을 삽입하는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첫번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단면 후 해칭을 숨기고, 스케치에서 리브..

이중스퍼기어 - 부품도 작업과 요목표

시험에 가끔 출제되는 이중 스퍼기어박스입니다. 이중 스퍼기어는 스퍼기어 2개를 가지고 있는 하나의 부품입니다. 일반적인 사항들은 스퍼기어와 똑같이 하시되 요목표를 하나에 정리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모델링은 단순하니 도면 작업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① 투상도 작도 문제도와 같이 스퍼기어를 온단면하고 평행 키홈이 잘 보이도록 국부 투상도를 뽑는다. ② 치수 기입 국부 투상도부터 치수기입하고, 정면도에서 안쪽 구멍부터 점차 바깥쪽으로 나가면서 치수기입을 한다. ③ 끼워 맞춤공차와 치수공차 키홈에 관련된 공차는 KS기계제도규격을 보고 하고, 보스 구멍 H7과 기어 바깥지름(이끝원지름)에 0^-0.1 공차, 전체 길이에 -공차를 부여한다. ④ 표면거칠기 키홈에는 표면거칠기 x, 이끝에 x, 피치원지름에 y 등..

편심축의 투상도, 주요 치수와 공차 정리

편심축의 투상도, 주요 치수와 공차 정리 이번 시간에는 편심축의 주요 치수와 공차에 대해 빠르게 정리하겠습니다. 키홈이나 여러 가지 축에 있어야 하는 형상은 제외하고 축의 기본 형상에 센터구멍만 낸 단순한 모양으로 정리합니다. ① 투상도 작도 정면도와 좌측면도가 필요하다. 키홈이 있으면 국부투상도가 필요하나 현재는 편심축에만 집중하도록 한다. ② 중심선 작도 각각 [자동화된 중심선]을 사용하여 중심선을 작도한다. ③ 편심축 치수기입 편심축에 관련된 위치치수(가로, 세로)와 크기치수 (지름, 길이)를 준다. ④ 편심축의 공차 편심축이 끼워지는 경우는 끼워 맞춤공차를 적용해야 한다. 여기서는 편심축에는 끼워맞춤이 없으므로 편심거리에만(좌측면도 3mm) 위치공차(±0.05)를 적용한다. ⑤ 표면거칠기와 기하공..

V-블럭(V-Block) 모델링과 도면 작업

V-블럭(V-Block) 모델링과 도면 작업 CAD 작업형 시험 중에서 소위 치공구라고 부르는 지그(Jig)와 고정장치(Fixture) 출제 문제 중에 공작물이 원통형일 때, 공작물을 고정하는 용도로 자주 출제되는 필수 점검 부품이라 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간단하게 점검할 수 있는 밀링클램프-1 과제를 통해 빠르게 점검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V-BLOCK 모델링 ① X-Y평면을 선택하여 스케치 작성을 한다. ② [직사각형] 툴을 이용하여 원 점(0,0)을 첫 번째 점으로 대각선 임의로 점을 지정한 후 가운데 수직선은 [중심선]으로 하고, 가로 26, 세로 21의 치수를 준다. ③ V홈을 [선]툴로 모양을 작도한다. ④ [미러]툴로 대칭 복사를 한 후 각각 치수기입하여 모양을 완성한다. ..

끼워맞춤공차 적용 순서 ( 시험 실전 )

끼워 맞춤 공차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지난 글에서 자세히 설명해 놓았지만 국가 기술 CAD 자격시험 (일반기계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에서 적용하는, 순서에 대해 예시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끼워맞춤공차 적용 방법끼워 맞춤공차를 적용하기 위해선 먼저 끼워 맞춤공차를 적용할 수 있는 조건이 성립되는지 확인을 해야 한다. (1) 끼워 맞춤공차 적용의 조건 ① 구멍과 축이 있어야 한다. 구멍 : 안쪽 면을 가153lab.com 아래 그림과 같이 4개의 부품들로 이루어진 조립품이 있다.1번은 본체 또는 베이스로 불리며 고정된 부품이며, 2번은 커버로 1번 본체와 볼트로 체결되어 함께 고정된다.3번은 가이드부시로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4번 축은 축선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을 한다...

V-벨트풀리긴장장치 : 커버 모델링과 투상도, 치수 ( 회전 단면, 자주 틀리는 치수 )

가끔 시험에 등장하는 커버입니다. 니플 구멍이 커버에 있어 볼트의 위치가 바뀌었고 따라서 조합 단면 (회전단면)을 해야 하며, 3d모델링 후 투상선이 제대로 나오지 않으므로 투상선의 정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치수기입도 한번 해보고 가지 않으면 많이 틀리는 부품이니 시험 보기 전에 꼭 작도하고 가시기 바랍니다.

벨트 긴장 장치 - 본체의 투상과 모델링

모델링 전 형상 파악을 하실 때, 면 투상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우리가 국가 기술 자격 CAD 실기 시험 (일반기계기사, 기계설계 산업기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을 3D로 준비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선은 직선과 원(호)이며, 솔리드를 만들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은 직선과 원과 동일 방법을 갖는 돌출(Extrude), 회전(revolve)입니다. 결국 직선과 원을 프로파일로 돌출과 회전을 사용하면 만들어지는 면은 평면, 원통면, 원뿔면, 구면, 원환면이 있으며 자격시험에서 대부분이 평면과 원통면으로 이루어진 부품이고, 구면과 원환면이 가끔 출제됩니다. 투상에서 면 투상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 면이 다른 방향에서 어떻게 보이느냐 하는 것에 잠깐이라도 고민해 보세요. 그다음에 도면을..

끼워맞춤공차 적용 방법

끼워맞춤공차 적용 방법끼워 맞춤공차를 적용하기 위해선 먼저 끼워 맞춤공차를 적용할 수 있는 조건이 성립되는지 확인을 해야 한다. (1) 끼워 맞춤공차 적용의 조건 ① 구멍과 축이 있어야 한다.구멍 : 안쪽 면을 가지고 있는 형상을 말하고, 끼워질 때 구멍의 안쪽면이 축의 바깥쪽면과 접촉한다.축 : 바깥쪽면을 가지고 있는 형상을 말하며, 끼워질 때 축의 바깥쪽면이 구멍 안쪽면과 접촉한다. 여기서 구멍이란, 원통형 구멍일 수도 있고, 사각형의 구멍일 수도 있다.  ② 구멍과 축의 기준 치수가 같아야 한다.구멍과 축의 기준 치수가 같아야 끼워 맞춤이라 할 수 있고, 끼워 맞춤공차를 적용할 수 있다.  기준 치수라는 것은 공차의 기준이 되는 치수를 말하며, 공차를 붙이지 않았을 때는 일반공차(KS B ISO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