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 제품모델링, 기계, 금형 이야기

국가 기술 자격 CAD 실기 시험/기계 제도와 도면 해독 28

KS B ISO 1302:2002 표면거칠기 기호의 크기

KS B ISO 1302:2002 표면거칠기 기호의 크기2025년부터 국가기술자격 CAD실기시험의 규격의 변경에 따라 아래와 같이 표면거칠기 지시 및 기호의 크기를 적용하여 작업해 주시길 바랍니다. 숫자 및 문자 높이(h, ISO 3098-2 기준)2.53.557101420기호의 선 두께 (d′)0.250.350.50.711.42문자의 선 두께 (d)숫자 및 문자 높이에 비례높이 (H₁)3.55710142028높이 (H₂, 최소)7.510.51521304260※ H₂는 지시선의 줄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원기둥형 및 각기둥형 표면중심선을 이용하여 표시되고, 각기둥형 표면마다 동일한 표면 거칠기 요구사항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원기둥형 및 각기둥형 표면을 한 번만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V-벨트풀리 아이들러의 본체 모델링, 투상도, 치수

V-벨트 풀리 드라이브, 아이들러, 긴장장치 등등 시험에 자주 출제되고 문제 유형 중에서, 기출과 유사한 문제도를 가지고 본체의 모델링, 투상도 작도, 정리, 치수 기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벨트 풀리 아이들러 문제도 ① 본체 축의 위치를 조절하여 V-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단 부 구멍이 길게 만들어져 있으며, 지면에 29mm 떨어진 R47 궤적에 축을 위치시킨다. ② 축 나사 끝에 볼트와 너트로 인해 본체와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회전하지 않으며, 볼베어링은 내륜 정지 하중으로 규격에 알맞은 공차를 축에 적용해야 한다. ③ V-벨트 풀리 V-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데 사용한다. ④ 간격링 칼라라고도 하며, 축 위에서의 부품 간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본체의 도면 본..

주철품과 주강품의 보통 치수 공차 (일반 공차)

주철품의 보통 치수 공차 정밀 주형을 제외한 모래형(사형) 주조에 따른 회 주철품과 구상·흑연 주철품의 길이 및 살두께의 주조한 대로의 치수의 보통 공차에 대한 규정. 주서의 보기 (1) 규격 번호 및 등급 : KS B 0250 부속서 1 보통급 (2) 개별 공차 : 주조품 공차 ±2 길이의 허용차 (단위 mm) 치수의 구분 회 주철품 구상 흑연 주철품 정밀급 보통급 정밀급 보통급 120 이하 ±1 ±1.5 ±1.5 ±2 120 초과 250 이하 ±1.5 ±2 ±2 ±2.5 250 초과 400 이하 ±2 ±3 ±2.5 ±3.5 400 초과 800 이하 ±3 ±4 ±4 ±5 800 초과 1600 이하 ±4 ±6 ±5 ±7 1600 초과 3150 이하 - ±10 - ±10 주강품의 보통 치수 공차 모래형(사..

동력전달장치의 부품별 재질 선정

동력전달장치 (Power transmission) 동력전달장치는 원동기(엔진, 모터)에서 발생한 동력을 다른 부분으로 전달하여 작동시키는 시스템을 말한다. 동력전달장치는 원동기에서 발생한 동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변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력전달장치 문제도 원동축의 V-벨트 풀리가 회전하면서 ② V-벨트 풀리가 회전한다. ② V-벨트 풀리의 회전으로 축과 함께 결합된 평행키(왼쪽 끝)에 의해 ⑤ 축이 회전하며, ⑧ 간격링과 볼베어링의 내륜, 오른쪽 끝에 있는 평행키에 의해 ③ 스퍼기어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본체 ① 본체 전체 부품들을 지지하는 프레임 역할하며, 본체의 하면을 테이블이나 구조물에 고정한다. 주조로 제작 후 밀링에서 하면, 좌우측면의 평면 절삭, 선반에서 베어링 장착부, 내경 절삭 ..

주물면과 가공면의 구분

주물면과 가공면 주조로 제작된 부품에 있어 과제 도면을 보고 제거 가공하지 않은 면과 제거 가공한 면을 구분할 수 있어야 도면 작업 시 치수 기입과 공차, 표면거칠기 등을 정확히 기입할 수 있다. 주조로 제작된 부품 = 주물 제거 가공하지 않는 면 = 주물면 제거 가공한 면 = 가공면 우리는 일반 주서(부품란 상단에 기입하는 주서)에 '도시되고 지시 없는 필렛과 라운드는 R3'이라고 적는다. 이 항목은 부품도에 주물이 있을 때 기입하는 항목이며, 그만큼 주물에는 가공면보다 주물면이 많다는 뜻이 된다. 주물 제작 시 주형 공동의 원형이 되는 목형에 각이 있을 때는 주형에서 목형을 빼낼 때, 각진 모서리부의 모양을 유지하기도 어렵지만, 용융된 쇳물이 응고되는 과정에서 주물의 모서리에 크랙이 발생한다. 따라서..

치공구의 시작 - 바이스1 #모델링부터 도면 작업까지 전 과정 따라하기

치공구라 불리는 지그(Jig)와 고정 장치(Fixture), 그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며, 도면해독을 처음 배울 때의 과제로 적합한 바이스(Vise)의 문제도와 도면 작업 전 과정에 대한 영상입니다. 총 5개의 영상이며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바이스 1 - 전 부품 3D 모델링 2) 바이스 1 - 투상도 작도와 정리 3) 바이스 1 - 치수 기입 4) 바이스 1 - 공차의 적용 5) 바이스 1 - 주서와 재질, 3D 렌더링 등각 투상도 작도 방법, PDF 출력과 용지 출력 아래는 문제도 이미지이며, PDF 파일로 다운이 가능하니, 출력 시에 실제 크기(1:1)로 출력하시기 바랍니다. 치공구의 시작, 바이스 1 - 모델링부터 출력까지 전 과정 따라 하기 도면을 출력하여, 도면을 보면서 따라 하셔야 효..

투상도 작도와 치수 기입 방법 최종 - (3) 치수 기입

지난번 올린 글에서 (1) 모델링과 (2) 투상도 작도의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투상도 작도와 치수 기입 방법 - (1) 모델링 우리는 CAD 실기 시험을 볼 때, 3D 모델링을 하고, 2D 부품도 작업을 합니다. 3D 모델링은 형상별로 모델링하고 그 과정 속에서 형상별로 치수 기입을 합니다. 그런데 왜 도면 작업할 때는 제대로 된 153lab.com 투상도 작도와 치수 기입 방법 - (2) 투상도 작도 지난 포스팅에서 투상도 작도와 치수 기입을 위한 모델링을 하였습니다. https://153lab.com/66 치수 기입에 대해 알아 보자 - (1) 모델링 우리는 CAD 실기 시험을 볼 때, 3D 모델링을 하고, 2D 부품도 작업 153lab.com 이번 글에서는 마지막 편 (3) 치수 기입 하는 ..

투상도 작도와 치수 기입 방법 - (2) 투상도 작도

지난 포스팅에서 투상도 작도와 치수 기입을 위한 모델링을 하였습니다. 치수 기입에 대해 알아 보자 - (1) 모델링 우리는 CAD 실기 시험을 볼 때, 3D 모델링을 하고, 2D 부품도 작업을 합니다. 3D 모델링은 형상별로 모델링하고 그 과정 속에서 형상 별로 치수 기입을 합니다. 그런데 왜 도면 작업할 때는 제대로 153lab.com 이번에는 투상도 작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투상도 작도 투상도 작도의 순서도 모델링의 순서와 같다. 전체 형상부터 외부형상, 내부 형상(구멍)이 잘 보이도록 하고, 중심선을 추가한다. 전체, 외부 형상 내부 형상 (구멍) 중심선 ⓐ 부품의 외형이 잘 보여야 한다. 부품의 전체적인 모양과 외형이 잘 보이도록 아래와 같이 투상도 3개를 만든다. 정면도, 우..

투상도 작도와 치수 기입 방법 - (1) 모델링

우리는 CAD 실기 시험을 볼 때, 3D 모델링을 하고, 2D 부품도 작업을 합니다. 3D 모델링은 형상별로 모델링하고 그 과정 속에서 형상별로 치수 기입을 합니다. 그런데 왜 도면 작업할 때는 제대로 된 치수 기입, 제대로된 투상도를 만들지 못할까요? 이번에는 그 부분에 대해서 실습을 통해 같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리밍 지그의 베이스 모델링 모델링 순서는 전체 형상 모델링 외부 형상 모델링 내부 형상 모델링(구멍) ① 전체 형상 모델링 X-Y 평면을 스케치면으로 하고 가로 150, 세로 74의 직사각형을 그린다. 원 점은 직사각형의 오른쪽 아래로 한다. Z 방향으로 20mm 돌출한다. ② 외부 형상 모델링 윗 면을 선택하고 [스케치 시작]을 클릭한다. 직사각형과 직선을 이용하여 아래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