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 제품 모델링, 기계, 금형 이야기

오토캐드, 인벤터, NX, 기계제도, 금형제도, KS 규격, 일반기계기사, 사출금형설계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관련 자료와 강좌

국가 기술 자격 CAD 실기 시험/기계 제도와 도면 해독

주물면과 가공면의 구분

153랩 2023. 7. 3. 22:29

주물면과 가공면

기어박스-커버
기어박스와 커버의 도면

주조로 제작된 부품에 있어 과제 도면을 보고 제거 가공하지 않은 면제거 가공한 면을 구분할 수 있어야 도면 작업 시 치수 기입과 공차, 표면거칠기 등을 정확히 기입할 수 있다.

주조로 제작된 부품 = 주물
제거 가공하지 않는 면 = 주물면
제거 가공한 면 = 가공면

 

우리는 일반 주서(부품란 상단에 기입하는 주서)에 '도시되고 지시 없는 필렛과 라운드는 R3'이라고 적는다.

이 항목은 부품도에 주물이 있을 때 기입하는 항목이며, 그만큼 주물에는 가공면보다 주물면이 많다는 뜻이 된다.

 

주물 제작 시 주형 공동의 원형이 되는 목형에 각이 있을 때는 주형에서 목형을 빼낼 때, 각진 모서리부의 모양을 유지하기도 어렵지만, 용융된 쇳물이 응고되는 과정에서 주물의 모서리에 크랙이 발생한다. 따라서 모서리와 구석 부분에 둥글기를 준다.

모서리의 둥글기 = 라운드(Round)
구석의 둥글기 = 필렛(Fillet)

 

주물면-가공면
가공 전 기어박스와 커버

또한, 가공할 부분은 가공을 고려하여 목형 단계에서 살을 더 두껍게 만들고, 주조 이후 가공한다. (가공 여유)

 

 

가공 전 주물

아래 그림은 가공 전 주물의 모양과 표면거칠기 기호를 나타낸 것이다. 모서리가 없으며, 면의 경계는 필렛 또는 라운드로 되어 있다.

가공전의-주물모양
가공 전 주물의 모양과 표면거칠기 기호

 

바닥 면의 가공

부품을 평평한 지면에 놓기 위해 바닥면을 가공한 경우 아래와 같이 양끝에 있는 라운드도 함께 제거된다.

바닥면의-가공-모양
바닥 면의 가공 모양과 표면거칠기

 

윗 면의 가공

윗 면을 가공한 상태일 때도 윗면의 라운드도 같이 제거된다.

윗면의-가공
윗 면의 추가 가공과 표면거칠기

 

 

두 방향에서 파악하는 면

위 그림을 보면 좌측 수직면은 양 끝에 R이 하나도 없는데 주물면으로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면을 파악할 때는 한쪽만 보고 파악하기 쉽지 않을 때는 다른 방향에서도 보아야 한다.

두방향에서-면-파악
면의 정확한 파악은 두 방향에서 보아야 한다.

 

153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