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 제품 모델링, 기계, 금형 이야기

오토캐드, 인벤터, NX, 기계제도, 금형제도, KS 규격, 일반기계기사, 사출금형설계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관련 자료와 강좌

국가 기술 자격 CAD 실기 시험/투상 연습 38

드릴지그 - 2021년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기출 유사 문제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실기 시험에 출제되는 문제와 유사한 도면입니다. 부품의 각 모양뿐만 아니라 기능에 대해서도 충분히 숙지를 해두시길 바랍니다.드릴지그 문제도 각 부품의 투상은 어렵지 않으니 주어진 제품도의 모양과 치수를 확인하고 먼저 제품의 위치를 참고하여 투상하시길 바랍니다. 빗줄형 널링의 규격이 주어지지 않았으니 규격 번호(KS B 0901)를 기억하시고 시험에 응시하시기 바랍니다.드릴지그의 조립도 153LAB

투상의 기초 연습하기 - 문제 1~19

전산응용기게제도기능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일반기계기사 필기 대비와 실기 대비를 위해 기초부터 투상 연습을 꼼꼼히 하시길 바랍니다. 문제 1 다음은 어떤 물체를 제 3각법으로 투상한 것이다. 이 물체의 등각 투상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문제 2 다음은 정면도와 평면도에 맞는 우측면도는 어떤 것인가? 문제 3 그림에서 나타난 정면도와 평면도에 적합한 좌측면도는? 문제 4 제 3각법으로 투상한 그림과 같은 정면도와 우측면도에 적합한 평면도는? 문제 5 왼쪽 입체도 형상을 오른쪽과 같이 도시할 때 표제란에 기입해야 할 각법 기호로 옳은 것은? 문제 6 다음 등각투상도에서 화살표 방향을 정면도로 할 경우 평면도로 할 경우 가장 옳은 것은? 문제 7 “가” 부분에 나타날 보조 투상도를 가장 적절하게 나타낸 것은? ..

5분 투상 - 베어링하우징1(Bearing housing1)

V-벨트 풀리로 입력된 회전력을 반대편의 축 끝에 설치될 전달 요소(기어, V-벨트 풀리, 평 벨트 풀리, 스프로킷, 휠 등)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써 입력 측과 출력 측의 동력 전달 요소에 따른 베어링의 설치 설계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베어링하우징 1 V-벨트 쪽에 설치된 볼 베어링은 그 반대편의 볼 베어링 보다 호칭 크기가 큰데, V-벨트 풀리의 회전 시 발생하는 미세한 진동(축 방향, 축 직각 방향의 복합 진동)을 수반하기 때문에 같은 크기의 베어링이라면 악조건을 견뎌야 한다. 같은 회전력을 전달한다 하더라도, V-벨트 풀리, 평벨트 풀리, 스프로킷 휠이 설치된 쪽의 베어링은 호칭 크기를 한 단계 위의 것으로 선택하거나 복렬(2줄) 베어링, 또는 롤러 베어링을 설치하는 것이 안전한 수명을..

5분 투상 연습 - 리밍지그

시험에 출제되는 유형은 크게 기계장치와 치공구입니다. 치공구에서의 출제 문제 유형은 크게 4가지가 있으며 다음과 같습니다. 바이스 클램프 드릴지그 리밍지그 물론 위 4가지 외에 사이드메뉴(?) 같은 문제들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위의 4가지 도면을 필수로 연습해야 합니다. 이번에는 리밍지그에 대해 알아보고 문제도를 보며 투상 연습을 하시기 바랍니다. 리밍 지그(Reaming jig) 리머(reamer) : 드릴로 가공된 구멍의 크기를 확장하여 다듬어 원하는 크기와 표면거칠기를 얻기 위한 공구 리밍지그(reaming jig) : 리머(reamer)로 가공 시에 공작물의 위치, 자세 결정과 고정, 공구를 안내하는 도구 사각와셔 리밍지그 지그의 이름 드릴지그나 리밍지그 앞에 붙는 이름은 지그로 가공하는 제품의 이..

5분 투상 - 윈치롤러

윈치 롤러 (Winch Roller) 윈치 롤러는 케이블 또는 로프의 안내와 방향 전환을 위해 사용하는 장치이며, 케이블이나 로프를 감거나 풀 때의 원활한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윈치 롤러의 구성과 기능 윈치 롤러는 롤러 본체와 회전 가능한 롤러 휠로 구성됩니다. 롤러 휠 (품번 5): 롤러 휠은 케이블이나 로프가 따라가는 표면을 제공합니다. 마찰을 최소화하고 더 나은 접촉력을 위해 일반적으로 원통형이나 홈이 있는 표면으로 설계됩니다. 윈치 롤러의 주요 기능 케이블 안내: 윈치 롤러는 케이블이나 로프를 올바른 경로로 안내하여 정확한 방향으로 유도합니다. 이는 케이블의 뒤틀림이나 휘어짐을 방지하고 원활한 작동을 도와줍니다. 마찰 감소: 윈치 롤러는 케이블이나 로프가 롤러 휠 위를 움직일 때 발생..

5분 투상 - 바 드릴 지그

드릴 지그(Drill jig)는 드릴 비트를 안내하고 정확하고 정밀한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돕는 고정 장치입니다. 작업물을 안전하게 고정시키고 드릴 비트를 올바른 각도와 깊이로 안내합니다. 드릴 지그는 응용 분야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으로 제작되며, 일반적인 유형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템플릿 지그 평면 판이나 템플릿으로 구성되며, 미리 구멍이 뚫린 상태입니다. 작업물을 템플릿 위에 놓고 드릴 비트를 구멍을 통해 안내합니다. 부싱 지그 드릴용 부시나 슬리브를 사용하여 드릴 비트를 안내합니다. 부시는 지그에 미리 뚫린 구멍에 삽입되고, 드릴은 부시를 통 해 공작물의 정확한 위치로 안내됩니다. 각도 지그 특정한 각도에서 구멍을 뚫기 위해 사용됩니다. 지그는 작업물을 원하는 각도로 고정하여 드릴 비트가..

5분 투상 - 기어 펌프

기어 펌프입니다. 기어 펌프는 유체를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기계 장치입니다. 액체를 펌핑하는 데 사용되며, 여러 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기어 펌프는 기어 세트를 회전시켜 유체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원리로 동작합니다. 기어 펌프의 장점 1) 높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장거리 또는 고압 펌핑에 적합하다. 2) 정확하고 일정한 유체 공급을 제공하여 정확한 흐름 제어가 가능하다. 3) 작동이 간단하고 신속하며, 비교적 작은 크기로도 큰 유체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기어 펌프 ① 본체 ② 축 ③ 커버 ④ 스퍼기어 ⑤ 미끄럼 베어링(베어링 부시) ⑥ 스퍼기어축 기어 펌프의 투상과 모델링은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만, 관용평행나사, 스퍼기어의 끼워 맞춤공차, 표면거칠기, 본체와 ..

5분 투상 - 수평 슬라이더

수평 슬라이더입니다. 동력변환장치의 분류에 들어가는 편심왕복장치, 또는 편심구동장치라 합니다. 우리가 '동력', '동력'하는 그 과제 중의 하나에 해당되는데요. 전체적으로 각형이 많아 치공구스럽습니다. ④ 편심축의 왼쪽에 스퍼기어가 조립되는 문제였으나 투상에만 집중하고자 스퍼기어는 삭제하였습니다. ④ 편심축에서 편심축과 동심축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우측 단면도를 계단식 단면하여 정면도에서 표현했으므로, ② 슬라이더가 절단되지 않아 다시 기름 홈 부를 부분 단면한 것에 유의하시면서 투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수평 슬라이더 ① 본체 ② 슬라이더 ③ 커버 (본체 커버) ④ 편심축 ⑤ 커버 (베어링 하우징) ⑥ 베어링 부시 (미끄럼 베어링) ⑦ 베어링 부시 (미끄럼 베어링) 수평 슬라이더 도면 5분 투상 - 드..

5분 투상 - 바이스3

바이스 ( Vise ) 바이스(Vise)는 작업물을 안전하게 고정하고 가공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바이스는 주로 목공, 금속 가공, 조립 작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바이스의 일반적 구성 요소 조(Jaws): 바이스의 상하 또는 좌우, 앞뒤에 위치한 조(턱)은 작업물을 고정하는 부분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작업물의 크기와 모양에 맞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나사(Screw): 바이스의 조를 움직이는데 사용되는 나사입니다. 나사는 손으로 조절할 수 있는 나사(vise screw) 또는 손잡이로 작동되는 회전 잭 스크류(jack screw) 형태일 수 있습니다. 손잡이(Handle): 바이스를 작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손잡이입니다. 손잡이를 돌리면 나사가 회전하여 조를 이동시킵니다. 작..

5분 투상 - 요동 장치

투상 연습에 많은 도움이 되는 요동장치입니다. 평면도의 왼쪽은 ② 서포터를 탈거한 상태로 절단이 된 모습입니다. ② 서포터는 ① 본체의 일부와 대칭에 가깝고, 끝 쪽의 모양만 차이가 있습니다. 각각 볼트 구멍과 탭구멍도 차이가 있구요.서포터보다 ④ 커버가 더 어렵게 느낄 수도 있으니 투상을 꼼꼼히 해보시기 바랍니다. 요동 장치 테이퍼 축에 키 홈의 투상도 작도와 치수기입 요동장치 본체에 붙어 있는 테이퍼축에서의 평행 키홈의 투상도 작도 방법과 치수 기입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테이퍼 축에 있는 키 홈의 국부 투상도 테이퍼 축에 있는 키 홈의 국부 투상도 테이퍼 축에 평행 키나 반달 키가 있을 때의 인벤터에서 #보조 투상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테이퍼 축 모델링 ..

5분 투상 - 바이스2

바이스 2 이전 글의 바이스 1과 유사 형태이나 ⑥ 리드나사축이 제자리에서 돌며 ③ 이동조만 움직이는 형태입니다. 공작물이 원통형으로 V-블록이 사용되었으며, ③ 이동조의 이동 제한을 위해 ② 멈춤 쇠(Stopper)가 조립되어 있습니다. ⑥ 리드나사축과 ⑤ 손잡이가 각각의 부품이며, 끼워 맞춤 후에 핀으로 고정하였습니다. 이런 핀의 조립은 정확한 위치와 자세를 위해 '조립 후 동시가공'을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① 베이스의 바닥면에는 위치 결정용 키 홈이 있습니다. 보통 시험에서 H7 공차가 주어지기도 합니다. 153LAB

5분 투상 - 바이스1

바이스 1 가장 기본이면서 있을 건 다 있는 바이스 1 과제입니다. 이 정도는 다들 투상하실 수 있겠죠? 만약 투상이 안된다면 천천히 투상해 보세요. 사실 투상 연습은 처음부터 어려운 과제를 놓고 하는 것이 아니라 아주 기본적인 각기둥과 원기둥으로부터 천천히 투상하면서 실력을 쌓아가는 겁니다. 가상선(이점 쇄선)은 공작물을 의미하는 것이며, ⑤ 리드나사축의 널링이 있는 손잡이 부분을 잡고 돌리면, 리드나사축과 핀으로 연결되어 있는 ③ 이동조가 앞뒤로 이동하는 방식의 '나사 바이스'입니다. 153LA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