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 제품 모델링, 기계, 금형 이야기

오토캐드, 인벤터, NX, 기계제도, 금형제도, KS 규격, 일반기계기사, 사출금형설계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관련 자료와 강좌

국가 기술 자격 CAD 실기 시험/실기 시험을 준비하면서

2023년 2회 일반기계기사 3일차 출제 도면 - 편심 구동 장치

153랩 2023. 7. 25. 15:40

2023년 2회 출제문제는 1일 차 (7월 23일)는 편심왕복장치, 2일 차 (7월 24일)는 드릴지그, 3일 차 (7월 25일)는 편심구동장치, 4일 차 (7월 26일)는 드릴지그, 마지막 날인 5일 차 (7월 27) 벨트 드라이브가 출제되었습니다.

 

우리가 흔히 동력이라고 부르는 기계장치는 크게 4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1. 동력전달장치

2. 동력변환장치

3. 감속기

4. 펌프

 

기계설계 분야에 국가기술 CAD자격시험(일반기계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작업형 시험을 준비한다면 기출문제와 상관없이 위에 4가지 유형은 필히 준비해야 합니다.

 

동력변환장치의 대표적인 문제 유형은 2가지인데, 편심축에 의한 운동 방향을 바꿔주는 편심왕복장치 또는 편심구동장치와 래크와 피니언이 있겠습니다.

편심왕복장치-동력변환장치래크와-피니언
동력변환장치=편심왕복장치+래크와 피니언


2023년 2회 출제 유사 문제 - 편심 구동 장치

출제문제-편심왕복장치
동력변환장치3 - (엔지니어링 드로잉)

2D 부품도와 3D 렌더링 등각투상도는 모두 ① 본체, ⑥ 링크(크랭크), ⑦ 편심축, ⑧ V-벨트 풀리 4개 작도했습니다.

 

① 본체

본체의 위쪽에 있는 ④ 커버의 형태는 조금 다르게 출제되었는데 육각 홈붙이 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이 구멍에 탭을 내고 커버에도 수나사를 내어 조립하는 방식으로 출제되었다고 합니다.

 

본체에서 볼베어링이 끼워지는 구멍은 하나로 보아야 하고, ⑦ 편심축과 ⑤ 슬라이더가 직각으로 조립되어야 하므로, 볼베어링이 끼워지는 구멍과 상단에 ④ 가이드부시가 끼워진 ② 커버가 조립되는 구멍에 직각도 기하공차를 적용해야 합니다.

또 볼베어링이 끼워지는 구멍과 오일실이 끼워지는 구멍은 동심도 공차를 적용합니다.

 

⑥ 링크 ( 크랭크 )

⑨ 간격링(칼라)과 마찰되는 양쪽 면을 데이텀으로 선정하여 중간 평면을 기준으로 하고, 편심축이 끼워지는 구멍에 직각도 공차를 적용하며, 핀구멍과 편심축이 끼워지는 구멍 간에는 평행도 공차를 적용하고, ⑤ 슬라이더가 끼워지는 홈에는 핀구멍에 대한 직각도 공차를 적용합니다. 

 

⑦ 편심축

편심축 좌측에 베어링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멈춤 링(스냅링)이 추가되었습니다.

센터 구멍은 양끝에 작업하고, 탭구멍 쪽에는 센터구멍의 원뿔 지름과 각도를 기입합니다.

센터 구멍을 보여주지 않은 좌측 끝 면에 센터 구멍 도시 기호와 지시선을 이용하여, 센터 구멍과 호칭을 기입합니다.

⑥ 링크와 끼워지는 편심축에 표면거칠기 y, 기하공차는 축선에 대한 평형도와 원통도를 지시합니다.

 

⑧ V-벨트 풀리

아래 그림처럼 V-벨트 풀리의 모양은 내부의 각진 부분이 2개가 아닌 하나로 출제된 것 같습니다. 이런 유형의 V-벨트 풀리는 인벤터나 오토캐드에서 내부의 상관선(주름선)을 반드시 그려줘야 합니다.

V-벨트 풀리는 주어진 KS규격을 잘 보고 모델링, 치수기입, 공차를 적용하면 되므로, 점수를 획득하기 좋은 부품입니다.

v-벨트풀리
V-벨트풀리


편심구동장치 조립도

편심왕복장치-조립도
편심왕복장치 - 조립도

위 문제는 일반기계기사에 자주 출제되는 문제 유형입니다.

 

153LA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