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 제품 모델링, 기계, 금형 이야기

오토캐드, 인벤터, NX, 기계제도, 금형제도, KS 규격, 일반기계기사, 사출금형설계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관련 자료와 강좌

국가 기술 자격 CAD 실기 시험/기계 제도와 도면 해독

V-블럭(V-Block) 모델링과 도면 작업

153랩 2023. 4. 22. 20:56

 

V-블럭(V-Block) 모델링과 도면 작업

CAD 작업형 시험 중에서 소위 치공구라고 부르는 지그(Jig)와 고정장치(Fixture) 출제 문제 중에 공작물이 원통형일 때, 공작물을 고정하는 용도로 자주 출제되는 필수 점검 부품이라 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간단하게 점검할 수 있는 밀링클램프-1 과제를 통해 빠르게 점검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V-BLOCK 모델링

① X-Y평면을 선택하여 스케치 작성을 한다.

 

 

② [직사각형] 툴을 이용하여 원 점(0,0)을 첫 번째 점으로 대각선 임의로 점을 지정한 후 가운데 수직선은 [중심선]으로 하고, 가로 26, 세로 21의 치수를 준다.

 

 

③  V홈을 [선]툴로 모양을 작도한다.

 

 

④ [미러]툴로 대칭 복사를 한 후 각각 치수기입하여 모양을 완성한다.

 

 

⑤ 작성된 스케치를 [돌출]툴로 대칭방향으로 100mm 돌출하고 끼워지는 모서리에 1mm 모떼기 한다.

 

⑥ 저장한다. 이번에도 역시나 V-블럭에 집중하기 위해 탭구멍은 생략하기로 한다.

 

728x90

 

2. V-BLOCK 도면 작업

① 아래와 같이 투상도를 배치한다. 별도의 구멍이나 다른 형상이 없으므로 투상도는 2개면 족하다.

 

 

② V-홈이 있는 투상도를 선택하고, 단축키 S키 [스케치 시작]을 누른다.

 

③ [원] 명령으로 그림과 같이 임의로 원을 그리고 [접선 구속조건]으로 두 직선에 원을 접하게 한다.

 

④ 지름은 도면에서 자로 측정한 공작물의 사이즈를 측정하여 18로 주고 원의 레이어를 [작업 평면]레이어로 이동시킨다. 작업평면의 선의 종류가 가상선이다.

 

 

⑤ 스케치를 종료하고 그림과 같이 중심선을 완성한다. 생략한 탭구멍이 2개가 있는데 탭구멍의 있으면 좌우 대칭 중심선을 추가한다. 지금은 탭구멍을 그리지 않았으므로 아래와 같은 투상도가 완성이 된다.

 

 

⑥ 치수기입을 한다. 모델링 할 때 사용하지 않은 치수로는 지시선으로 지시한 ∅18(게이지핀), 기준면에서부터 게이지핀 끝까지의 (높이)이다. 이는 V-블록 제작 시 측정 및 검증을 위해 필요한 치수이니 기억하도록 하자.

 

⑦ 끼워맞춤공차와 치수공차를 적용한다. 26h6는 1번 베이스와 끼워맞춤이며, V-블록에는 모서리의 거리에 치수공차를 준다.

 

⑧ 표면거칠기를 준다. 전체적으로 x표면거칠기가 많으니 대표를 x로 해도 되지만, 학습을 위해 w를 대표로 선정한다. 

⑨ 형상기하공차를 준다. V-홈의 각도치수에 네모를 씌워 이론적으로 정확한 치수로 하고, 데이텀면과의 경사도 공차를 적용하는 것에 주목하면 될 것이다.

이상 V-블럭에 대해 모델링과 도면작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조금 더 기하공차가 요구되는 부분이 있지만 이 정도만이라도 정리를 필히 하시고 시험에 응시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