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 제품모델링, 기계, 금형 이야기

분류 전체보기 180

5분 투상 - 동력전달장치3

동력전달장치3 시험에서 문제지를 받자마자 하는 일은 눈으로 도면을 관찰하는 일이겠죠. 평소 이 연습을 꾸준히 하시면 투상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교재의 몇 페이지 분량을 휴대폰으로 사진을 찍어 대중교통으로 이동할 때나, 잠깐 차를 마실 때, 짬을 내서 보시는 연습을 하시면 투상 능력이 많이 좋아집니다. 각 부품을 구별할 수 있고, 모델링할 수 있는지, 관련된 KS규격을 찾아 적용할 수 있는지 자가 테스트하시기 바랍니다. 이전 도면과 마찬가지로 축, 좌측에 보면 키홈은 있는데, 부품이 조립되지는 않았습니다만 축에 관련된 끼워 맞춤공차와 표면거칠기를 적용하셔야 되겠죠? 탭구멍에 센터구멍도 적용하셔야 하고요. 본체의 투상도 배치는 조립도의 투상도 배치와 같이 하시면 되고, 그리스 니플 구멍에만 4가지 종류의 ..

5분 투상 - 동력전달장치2

동력전달장치2 눈으로만 투상하세요. 각 부품을 형상과 관련된 KS규격을 찾아 모델링을 할 수 있는지 테스트입니다. 부품의 명칭은 번호 순서대로 ① 본체 ② 축 ③ 스퍼기어 ④ 커버 (베어링 커버, 실 하우징) ⑤ 플랜지 커플링 입니다. 문제도에 치수공차와 끼워 맞춤공차가 주어졌으므로, 부품도 작업 시에 그대로 적용하시면 됩니다. 볼트 구멍에 '리머 볼트 구멍'이라고 주어진 경우에는 리머 볼트로 조립되는 구멍이므로, 일반적인 볼트 구멍의 치수가 아닌 자로 잰 정확한 치수를 사용해야 하며, 끼워 맞춤공차 H7과 표면거칠기 x, 기하공차는 데이텀을 기준으로 평행도를 적용해야 합니다. 또한 플랜지 커플링의 측면 투상도에서 각도 치수와 피치원 지름에 '이론적으로 정확한 치수'라는 뜻으로 치수 주위에 직사각형을 씌..

5분 투상 - 동력전달장치1

동력전달장치1 문제도를 보고 각 부품을 투상해 보세요. 머릿속으로 모델링을 해봅니다. 규격을 찾아야 될 곳은 어디인지, 자로 측정해서 그려야 할 곳은 어디인지 파악합니다. 각 부품을 그릴 자신이 생겼다면 다음 페이지를 보고 마찬가지의 투상 연습을 합니다. 하루에 많이 볼 필요는 없습니다. 하나라도 정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품 명은 순서대로 ① 본체 ② 축 ③ 스퍼기어 ④ 커버 (베어링 커버, 실 하우징) 축의 좌측에 보면 키 홈은 있지만 끼워진 부품은 없는데, 조립하기 위해 키 홈을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키 홈이 있는 축에 끼워 맞춤공차를 적용하고, 문제도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탭구멍에 센터구멍을 가공해야 합니다. 5분 투상 - 드릴지그1 드릴지그 1 드릴지그 과제에서 제품도가 주어지면 제품도의 ..

두 원에 접하는 원을 8개 그리시오.

오토캐드(AutoCAD)의 Circle의 옵션인 TTR (접선-접선-반지름/Tangent-Tangent-Radius)를 이용하여 다음의 두 개의 원에 접하는 원을 8개 그려보겠습니다. 접하는 원의 선택 지점에 따라 생성되는 원의 중심 위치가 바뀌니 생성할 원의 위치를 생각하면서 접점을 선택하세요. 1. 문제 R20의 크기를 갖는 두 원의 간격은 70mm 작도한다. 2. R60의 크기를 갖는 접원의 생성 Circle의 ttr을 이용하여 원이 겹치지 않도록 8개의 원을 만든다. 3. 마지막 2개가 잘 안된다면 (노란색 원) 원이 접할 위치를 생각하며 접점을 지정한다. (그림에 흰색 원)

오토캐드 2023.06.07

도형의 생략

도형의 생략 1. 대칭 도형의 생략 도형이 대칭 형식의 경우에는 다음 중 어느 한 방법에 따라 대칭 중심선의 한쪽을 생략할 수 있다. a) 대칭 중심선의 한쪽 도형만을 그리고, 그 대칭 중심선의 양 끝부분에 짧은 2 개의 나란한 가는 선(대칭 도시 기호 또는 대칭 그림 기호)을 그린다. b) 대칭 중심선 한쪽의 도형을 대칭 중심선을 조금 초과한 부분까지 그린다. 이때에는 대칭 도시 기호를 생략할 수 있다. 2. 반복 도형의 생략 같은 종류, 같은 모양의 것이 다수 줄지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에 따라 형체 도형을 생략할 수 있다. (a) 다만, 그림 기호를 사용하여 생략할 경우에는 그 뜻을 알기 쉬운 위치에 기술하거나 지시선을 사용하여 기술한다. 잘못 볼 우려가 있으면 양 끝부(한쪽 끝 1피치분), 또는 요..

기초 제도 2023.06.02

PDF 뷰어에서 도면 출력 방법

도면 작업의 마지막 중요 과제인 '출력'에 대해서 알아보도로 하겠습니다. 인벤터에서 PDF 내보내기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인벤터에서 PDF 내보내기 방법과 옵션 인벤터에서 PDF 내보내기 일반기계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시험에서 2D, 3D 도면 각각 한 장씩, 완성했다고 가정하고 그 후에 도면을 PDF로 내보내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153lab.com PDF 뷰어에서 도면 출력 방법과 옵션 1. PDF 파일 열기 어도비 아크로뱃(Adobe acrobat)에서 출력할 PDF 파일을 연다. 2. [인쇄] 버튼 클릭 또는 Ctrl + P 3. 프린터 확인 및 [페이지 설정] 출력할 프린터를 확인하고, 화면 하단에 [페이지 설정] 버튼을 클릭한다. 4. 페이지 설정 변경..

인벤터에서 PDF 내보내기 방법과 옵션

인벤터에서 PDF 내보내기 일반기계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시험에서 2D, 3D 도면 각각 한 장씩, 완성했다고 가정하고 그 후에 도면을 PDF로 내보내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2D 부품도, 3D 렌더링 등각 투상도의 완성 idw파일에는 sheet가 총 두 개로 하나는 2D 부품도, 다른 하나는 3D 등각투상도이다. ⓐ Sheet:1 - 2D 부품도 ⓑ Sheet:2 - 3D 렌더링 등각 투상도 2. PDF 내보내기 ⓐ [파일] - [내보내기] - [PDF] 순으로 클릭한다. ⓑ 파일 이름과 옵션 PDF 파일 이름을 입력하고, [옵션] 버튼을 클릭한다. ⓒ 옵션 빨간 사각형만 체크하면 되는데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인쇄 범위 ※ 현재 시트 : 현재 활성된 시트만..

인벤터의 브레이크 아웃(Break out)의 개념과 응용

인벤터(Inventor)에서 도면 작업 중 부품을 절단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은 브레이크 아웃(Break out)입니다. 브레이크 아웃으로 온 단면도, 한쪽 단면도, 부분 단면도, 부분 투상도 등을 만들 수 있어 사용 빈도가 높은 명령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브레이크 아웃의 개념과 적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습을 위해 아래 링크를 눌러 - 동력 6 본체 - 예제 파일을 먼저 다운로드하세요. 도면 연습을 위한 동력전달장치4, 동력전달장치6 본체 ipt 인벤터2020 버전 153lab.com 인벤터에서 다운로드한 파일을 열어 연습하도록 하겠습니다. 1. 새로 만들기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눌러 JIS.idw를 선택한다. 2. 투상도 작도 아래 그림과 같이 정면도, 우측면도, 저면도의 투..

인벤터 2023.05.28

오토캐드에서 필렛(Fillet) 적용이 안되는 이유와 해결 방법

오토캐드에서 필렛 적용이 안 되는 이유와 해결 방법 오토캐드(AutoCAD)에서 필렛 명령의 원리와 만들 수 없는 필렛, 그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연습을 위한 도형의 작도오토캐드에서 직선(Line) 명령을 사용하여 아래 그림과 같은 도형을 그린다.  2. 필렛 적용필렛(Fillet : 단축키 F) 명령을 실행하고, 반지름(R) 값은 7mm로 설정한 후 그림과 같은 두 개의 선을 선택하고 필렛을 적용한다. 필렛이 잘 만들어졌다.  3. 도형의 변경이제 위쪽 도형의 치수를 변경하겠다. 다시 그려도 되고, 스트레치(Stretch : 단축키 S) 명령을 사용하여, 세로 길이  7mm를 5mm로 변경한다.  4. 필렛의 실패와 이유필렛 명령으로 똑같이 반지름 값 7mm로 적용해 보자.  지름이 너..

오토캐드 2023.05.27

단면도의 종류와 표시 방법, 긴 쪽 방향으로 절단하지 않는 것.

▶ 단면도의 종류와 표시 방법, 긴 쪽 방향으로 절단하지 않는 것. 가려져 보이지 않는 부분을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하여 단면도로 나타낼 수 있다. 단면도의 도형은 절단면을 사용하여 대상물을 절단하였다고 가정하고 절단면의 앞부분을 제거하고 투상도의 표시 방법과 같이 그린다. 1. 온 단면도 2. 한쪽 단면도 3. 부분 단면도 4. 회전 도시 단면도 5. 조합에 의한 단면도 6. 다수의 단면도에 의한 도시 7. 긴 쪽 방향으로 절단하지 않는 것 8. 단면도의 해칭 9. 얇은 두께 부분의 단면도 1. 온 단면도 a) 대상물의 기본적인 형상을 가장 좋게 표시할 수 있도록 절단면을 설정하여 그린다. 절단한 위치를 명확히 알 수 있는 경우에는 절단선은 기입하지 않는다. ※ 주로 대칭형에서 대칭 중심선을 기준으로 ..

기초 제도 2023.05.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