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 제품 모델링, 기계, 금형 이야기

오토캐드, 인벤터, NX, 기계제도, 금형제도, KS 규격, 일반기계기사, 사출금형설계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관련 자료와 강좌

기초 제도

도면에서 사용하는 선의 굵기, 모양, 종류

153랩 2023. 5. 24. 23:15

 

▶ 도면에서 사용하는 선의 굵기, 모양, 종류

1. 선의 굵기
2. 선의 모양
3. 선의 종류와 용도
4. 특수한 용도의 선

 

선의 종류는 선의 굵기와 모양으로 결정된다.

 

선의 종류 = 선의 굵기 + 모양

 

선의 굵기는 가는 선, 중간 굵기의 선, 굵은 선, 아주 굵은 선이 있다. (4가지)

선의-굵기
선의 굵기

 

선의 모양에는 일점 쇄선, 이점 쇄선, 파선, 실선이 있다. (4가지)

선의-모양
선의 모양

 

이 두 개의 조합으로 선의 종류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윤곽선 = 아주 굵은 + 실선

외형선 = 굵은 + 실선
숨은선 = 중간 굵기 + 파선

중심선 = 가는 + 일점 쇄선
치수선 = 가는 + 실선

가상선 = 가는 + 이점 쇄선

 

모양과 굵기가 같아도 선의 종류는 다를 수 있고, 이런 다양한 선의 종류를 위해서 도면 작업 시작 전, 각각의 캐드(CAD) 프로그램에서 레이어(Layer)라는 기능을 이용하여 설정을 한다.

 

오토캐드-레이어-설정
오토캐드의 레이어 셋팅

 

오토캐드(AutoCAD)는 일반적으로 색상으로 선의 굵기를 구분하고, 최종 출력 시 색상별로 선의 굵기를 적용한다. 위 그림에서 중심선, 치수선, 가상선은 선의 모양(그림의 선 종류: CENTER2=일점 쇄선, Continuous=실선, PHANTOM2=이점 쇄선)은 다르지만, 색상은 모두 빨간색으로 굵기는 같게 출력된다.

 

인벤터-레이어-설정
인벤터의 스타일 편집기 - 레이어 설정

 

인벤터(Inventor)에서도 도면 작업을 하려면 첫 번째로 레이어 설정을 통해 선의 굵기와 모양을 정한다.

 

 

1. 선의 굵기

● 선의 굵기의 기준은 0.13mm, 0.18mm, 0.25mm, 0.35mm, 0.5mm, 0.7mm, 1mm, 1.4mm, 2mm로 한다.

 

 가는 선, 굵은 선, 아주 굵은 선의 굵기 비율은 1 : 2 : 4로 하며, 가는 선과 굵은 선 사이의 굵기를 '중간 굵기의 선'이라 한다. 선의 굵기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렇게 4가지이다.

 

가는 선이 0.25mm이면, 굵은 선은 x2 = 0.5mm, 아주 굵은 선은 x4 = 1mm가 된다. 컴퓨터를 이용해서 제도하는 경우, 출력 시 잉크의 번짐을 고려하여, 아주 굵은 선을 한 수준 아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mm 대신 0.7mm)

중간 굵기는 가는 선(0.25mm)과 굵은 선(0.5mm) 사이에 있는 0.35mm가 된다.

 

가는 선을 0.18mm로 하면 가는 선(0.18mm), 중간 굵기의 선(0.25mm), 굵은 선(0.35mm), 아주 굵은 선(0.7mm)이 된다.

이 선의 굵기가 현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기계설계산업기사 시험에서 적용해야 하는 굵기이다.

일반기계기사는 (0.25mm, 0.35mm, 0.5mm, 0.7mm)의 굵기를 사용하여 시험을 치른다.

언제든 변경될 수 있으니 시험 당일 요강을 확인하도록 하자.

 

2. 선의 모양

왼쪽부터 순서대로 일점 쇄선,  이점 쇄선,  파선,  실선이라 한다.

선의-모양-4가지
선의 모양 4가지

 

3. 선의 종류와 용도 (선 모양에 따른 분류)

선의 4가지 모양에 따른 종류와 용도를 알아보자.

 

① 모양이 실선인 선의 종류

 

● 외형선 (굵은+실선)

 

대상물의 보이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하는 데 쓰인다.

 

※ 면의 경계와 한계 (모서리, 모선)

 

● 치수선 (가는+실선)

 

치수를 기입하기 위하여 쓰인다.

 

● 치수 보조선 (가는+실선)

 

치수를 기입하기 위하여 도형으로부터 끌어내는데 쓰인다.

 

● 지시선 (가는+실선)

 

기술 · 기호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끌어들이는데 쓰인다.

 

● 중심선 (가는+실선)

 

도형의 중심선을 간략하게 표시하는 데 쓰인다.

※ 길이가 짧은 중심선

 

● 회전 단면선 (가는+실선)

 

도형 내에 그 부분의 끊은 곳을 90˚ 회전하여 표시하는 데 쓰인다.

 

● 수준면선 (가는+실선)

 

수면, 유면 등의 위치를 표시하는 데 쓰인다.

 

※ KS A ISO 128에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선의-종류-외형선-중심선-치수보조선-치수선-회전단면선-지시선

 

아주-굵은-실선-가는-실선-수준면선

 

 

② 모양이 파선인 선의 종류

 

● 숨은선 (가는+파선, 굵은+파선)

 

대상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하는 데 쓰인다.

 

※ 탭구멍을 숨은선으로 표시할 때, 안 지름은 굵은 파선, 골지름은 가는 파선으로 표시하는 것이 좋다.

 

숨은선-굵은-파선-가는-파선

 

③ 모양이 일점 쇄선인 선의 종류

 

● 중심선 (가는+일점 쇄선)

 

도형의 중심을 표시하는 데 쓰인다.

 

● 기준선 (가는+일점 쇄선)

 

위치 결정의 근거가 된다는 것을 명시할 때 쓰인다.

 

● 피치선 (가는+일점 쇄선)

 

되풀이하는 도형의 피치를 취하는 기준을 표시하는 데 쓰인다.

 

● 특수 지정선 (굵은+일점 쇄선)

 

특수한 가공을 하는 부분 등 특별한 요구사항을 적용할 수 있는 범위를 표시하는 데 사용한다.

 

특수-지정선-중심선-피치선
특수지정선, 중심선, 피치선

 

④ 모양이 이점 쇄선인 선의 종류

 

● 가상선 (가는+이점 쇄선)  

 

a. 인접 부분을 참고로 표시하는 데 사용한다.

b. 공구, 지그 등의 위치를 참고로 나타내는 데 사용한다.

c. 가동 부분을 이동 중의 특정한 위치 또는 이동 한계의 위치로 표시하는 데 사용한다.

d. 가공 전 또는 가공 후의 모양을 표시하는 데 사용한다.

e. 되풀이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한다.

f. 도시된 단면의 앞쪽에 있는 부분을 표시하는 데 사용한다.

 

※ 가상선은 투상법상에서는 도형에 나타나지 않으나, 편의상 필요한 모양을 나타내는 데 사용한다. 또, 기능상 · 공작상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형을 보조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도 사용한다.

 

● 무게 중심선 (가는+이점 쇄선)

 

단면의 무게 중심을 연결한 선을 표시하는 데 사용한다.

 

● 광축선 (가는+이점 쇄선)  

 

렌즈를 통과하는 광축을 나타내는 선에 사용한다.

 

파단선-가상선-가는-실선
가상선-해칭선-중심선

 

⑤ 특수한 모양인 선의 종류

 

● 파단선 (가는+불규칙한 파형의 선, 가는+지그 재그 선) 

 

대상물의 일부를 파단한 경계 또는 일부를 떼어낸 경계를 표시하는 데 사용한다.

 

● 절단선 (가는+일점 쇄선으로 끝부분 및 방향이 변하는 부분을 굵게 한 것)

 

단면도를 그리는 경우, 그 절단 위치를 표시하는 데 사용한다.

※ 다른 용도와 혼용할 염려가 없을 때는 끝부분 및 방향이 변하는 부분을 굵게 할 필요는 없다.

 

● 해칭 (가는+실선을 규칙적으로 늘어놓은 것)

 

도형의 한정된 특정 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별하는 데 사용한다. 예를 들면 단면도의 절단된 부분을 나타낸다.

 

파단선-절단선-해칭
절단선, 파단선, 해칭

 

4. 특수한 용도의 선

● 가는 실선

 

a. 외형선 및 숨은선의 연장을 표시하는 데 사용한다.

b. 평면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한다.

c. 위치를 명시하는 데 사용한다.

 

● 아주 굵은 실선

 

얇은 부분의 단선 도시를 명시하는 데 사용한다.

 

가는실선-위치-명시

 

153LA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