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 제품 모델링, 기계, 금형 이야기

오토캐드, 인벤터, NX, 기계제도, 금형제도, KS 규격, 일반기계기사, 사출금형설계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관련 자료와 강좌

국가 기술 자격 CAD 실기 시험/실기 시험을 준비하면서

일반기계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의 실격 사유 (채점 제외 대상)

153랩 2023. 5. 10. 16:17

 

국가 기술 자격 CAD 실기 시험의 실격 사유 (채점 제외 대상)

관련 자격 시험 종목으로는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기계설계산업기사,일반기계기사입니다.

채점 대상에서 제외되는 항목

가) 기권

(1) 수험자 본인이 수험 도중 기권 의사를 표시한 경우

실격사유-기권

나) 실격

(1) 시험 시작 전 program 설정을 조정하거나 미리 작성된 Part program (도면, 단축키, 셋업 등) 또는 LISP과 같은 Block(도면양식, 표제란, 부품란, 요목표, 주서 및 표면 거칠기 등)을 사용한 경우
- 중요한 것은 '시험 시작 전'과 '미리 작성된'이라는 것입니다. 시험 시간 내에 설정 또는 만드는 것은 상관없습니다.

 

(2) 채점 시 도면 내용이 다른 수험자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경우


(3) 파일로 제공한 KS 데이터에 의하지 않고 지참한 노트나 서적을 열람한 경우


(4) 수험자의 장비 조작 미숙으로 파손 및 고장을 일으킨 경우

 

부정행위

다) 미완성

(1) 시험 시간 내에 부품도(1장), 렌더링 등각 투상도(1장)를 하나라도 제출하지 아니한 경우

 

(2) 수험자의 직접 출력 시간이 10분을 초과한 경우

(다만, 출력 시간은 시험 시간에서 제외하며, 출력된 도면의 크기 또는 색상 등이 채점하기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감독위원의 판단에 의해 1회에 한하여 재출력이 허용됩니다.)

-단, 재출력 시 출력 설정만 변경해야 하며 도면 내용을 수정하거나 할 수는 없습니다.

 

(3) 요구한 부품도, 렌더링 등각 투상도 중에서 1개라도 투상도가 제도되지 않은 경우

(지시한 부품번호에 대하여 모두 작성해야 하며 하나라도 누락되면 미완성 처리)

- 요강에 지시한 작업 부품을 꼼꼼히 보아야겠죠.

라) 오작

(1) 요구한 도면 크기에 제도되지 않아 제시한 출력 용지와 크기가 맞지 않는 작품
-출력 연습을 많이 하세요.

 

(2) 각법이나 척도가 요구 사항과 전혀 맞지 않은 도면


(3) 전반적으로 KS 제도 규격에 의해 제도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도면


(4) 지급된 용지(트레이징지)에 출력되지 않은 도면


(5) 끼워 맞춤공차 부호를 부품도에 기입하지 않았거나 아무 위치에 지시하여 제도한 도면
- 2D 부품도 전체에서의 누락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6) 끼워 맞춤 공차의 구멍 기호(대문자)와 축 기호(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지시한 도면

- 2D 부품도 전체에서의 구분 없음을 말합니다.

(7) 기하공차 기호를 부품도에 기입하지 않았거나 아무 위치에 지시하여 제도한 도면

- 2D 부품도 전체에서의 누락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8) 표면거칠기 기호를 부품도에 기입하지 않았거나 아무 위치에 지시하여 제도한 도면

- 2D 부품도 전체에서의 누락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9) 조립 상태(조립도 혹은 분해 조립도)로 제도하여 기본 지식이 없다고 판단되는 도면

- 가장 많은 실격 사유에 해당됩니다. 시험을 보기로 했다면 투상 연습을 꾸준히 하세요.

 

※ 출력은 수험자 판단에 따라 CAD 프로그램 상에서 출력하거나 PDF 파일 또는 출력 가능한 호환성 있는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하여도 무방합니다.

 

- 이 경우 폰트 깨짐 등의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니 이점 유의하여 CAD 사용 환경을 적절히 설정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실격사유-오작

시험을 보기 전 필히 숙지하고 연습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에는 구체적인 실격 사례를 들어 설명하였으니 참고하세요

 

 

국가 기술 작업 CAD 실기 시험에서 실격의 사유 ( 실격에 대한 예방법)

이번 글에서는 #일반기계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시험을 치르고, 도면을 출력하...

blog.naver.com


 

반응형